단관비계
1. 단관비계의 결속재(부속품) 종류
(1) 이음철물
① 단관 2개를 직선으로 결합하는 이음철물
② 종류 : 마찰형, 전단형, 특수형
(2) 연결철물
① 관을 교차 혹은 평행으로 연결하는 클램프
② 종류 : 직교형, 자유자재형, 특수형
(3) 받침철물
① 비계 기둥관의 밑 부분에 붙여 비계기둥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철물
② 종류 : 고정형, 조절형
2. 재료
(1) 단관 및 부속철물 : 재료의 선정은 공사계약조건에 따름
(2) 외력에 의한 균열, 뒤틀림 등의 변형이 없으며 부식되지 않고, 강도가 저하되지 않은 것 (불량품 확인)
(3) 조립도 기준 : 필요한 부재수가 반입되는지 확인
(4) 재사용 부재 : KSC 21 10 00 (1.3.2)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자재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KSC 21 10 00에 따른다. (재사용 가설기자재 자율등록제 폐지에 따라 관련 기준 개정)
3. 조립 및 설치기준
① 수평간격 : 1.5 m ~ 1.8 m
② 수직간격 : 1.5 m 이하 (지상에서 첫단의 높이 : 2.0m)
띠장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하며, 지상에서 첫번째 띠장은 높이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③ 벽 연결 : 수직 5m, 수평 5m 이내 마다
④ 가새 : 수평면에 대해 45˚ 각도, 기둥간격 10m 마다 처마방향 가새 설치, 모든 비계기둥은 가새에 결속하여야 한다. 비계기둥과 교차하는 개소는 자유자재형 클램프로 결속
※ 수평가새는 벽연결을 한 곳에 설치하여 보강
⑤ 교차부 : Clamp pin으로 체결
⑥ 가새보강용 수평띠장 : 3m 이내
⑦ 높이 31m 이상인 경우 : 최대높이 - 31m = Δℓ 만큼 하부에 겹이음(비계기둥의 최고부로 부터 아래방향으로 31m를 넘는 비계 기둥은 2본의 강관으로 묶어 세워야 한다.)
⑧ 비계기둥의 하단부 : 깔판(밑받침 철물), 받침목 사용, 인접 비계기둥과 밑둥잡이를 연결하여 설치, 연약지반에서는 소요 폭의 깔판을 비계기둥에 3본 이상 연결되도록 설치(깔판의 밑둥잡이를 밑받침 철물로 고정한 경우 밑둥잡이 생략가능)
⑨ 비계기둥 : 세울 때 임시 보조기구, 지주 등을 설치하여 비계기둥의 안정을 꾀한다. 이음부는 동일 높이에 오지 않도록 배치한다. 지주는 기초보강 후 침하 및 이탈 방지
⑩ 띠장을 비계기둥에 설치할 때는 직교형 클램프로 결속하고, 띠장의 이음부는 한 곳에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한다.
⑪ 장선 : 장선의 간격은 1.5m 이하, 비계기둥과 띠장의 교차부에서는 비계기둥에 결속하고, 그 중간부분에서는 띠장을 결속한다. 비계발판을 맞댐형식으로 깔 경우, 장선은 비계발판의 내민부분이 10cm ~ 20cm의 범위 내가 되도록 간격을 정하여 설치한다.
⑫ 작업책임자의 지휘 하에 작업 실시
⑬ 작업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⑭ 작업대의 구조는 추락 및 낙하물 방지조치를 하여야 한다.
⑮ 작업발판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쌍줄비계이어야 하며, 작업발판, 이음철물 등 재료의 선정은 공사계약조건에 따른다.
4. 작업지시 및 확인
(1) 작업자를 적절히 배치하고 적절한 작업기기, 공구 등을 준비한다.
(2) 작업자가 안전모, 복장 및 안전대 등을 바르게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3) 작업자에게 작업의 개요 설명, 작업순서와 안전상의 제반 주의사항을 지시한다.
(4) 작업장소에는 관계자 외 출입을 금지한다.
강관비계
1. 강관비계 조립순서
(1) 깔판을 작업위치에 배치한다.
(2) 밑받침 철물을 붙인다.
(3) 비계기둥을 세운다.
(4) 띠장을 붙인다.
(5) 수평을 확인한다.
(6) 밑둥잡이를 설치한다.
(7) 장선을 설치한다.
(8) 비계발판을 깐다.
(9) 비계기둥을 붙인다. (반복)
(10) 띠장을 붙인다. (반복)
(11) 장선을 붙인다. (반복)
(12) 가새를 설치하고 벽면과 연결을 한다.
(13)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2. 사용관리 및 취급 시 주의사항
(1) 사용관리
① 최대 적재하중(지주 간 400kgf/㎡ 이하) 및 위험 표지판 부착
② 2m 이상 고소작업 시 안전대 착용 후 작업
③ 작업발판 (폭 40 cm 이상, 틈새 3cm 이하) : 전면에 밀실하게 깔 것
④ 안전난간 설치
⑤ 침하방지조치 : 깔판, 깔목 사용, 밑둥잡이 설치
⑥ 비계 위 불필요한 자재적치 금지
⑦ 악천후 시 작업중지
⑧ 악천후 예상 시 벽이음연결재 보강
⑨ 안전 확인(바닥다짐, 편평도, 받침)
(2) 취급 및 저장
① 던지거나 낙하시키지 말 것
② 부속품, 도구 등은 적정한 용기에 담아 관리할 것
③ 해체 시 점검 및 보수
④ 관류 실을 때 1.5m 이하 적재 (무너짐 방지)
3. 해체시 안전대책
(1) 해체는 조립의 역순, 반드시 안전대 착용
(2) 해체시점에서 벽연결, 가새 등의 해체 및 낙하물 유무 점검
(3) 비계해체 후 내릴 때에는 부속철물이 작업복이나 장갑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
(4) 해체한 비계부재가 낙하되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
(5) 벽연결은 가급적 나중에 해체한다.
(6) 해체한 비계부재를 손으로 넘겨 줄때는 상대방이 잘 받았는지 확인 후 손을 놓는다.
(7) 비계기둥 및 띠장의 해체는 공동작업으로 실시 (단독작업 금지)
4. 구조검토
(1) 수평부재(발판, 장선, 띠장)의 검토
① 부재의 휨모멘트에 대한 검토를 한다.
② 하중은 고정하중(자중)과 활하중을 고려한다.
(2) 수직부재(기둥)의 검토
① 압축력에 대한 검토
㉠ 수직부재는 압축력에 대하여 안전성을 검토하며, 하중에 의하여 가장 취약한 최하층의 수직부재 1본을 검토한다.
㉡ 하중은 고정하중(자중)과 활하중을 고려한다.
· 최하층 기둥 1본에 작용되는 고정하중(자중)은 최상층에서부터 최하층까지의 각 부재(발판, 장선, 띠장, 가새 등)의 자중을 합하여 구한다.
· 활하중의 계산은 수직부재간의 한계 활하중이 350kgf 이고, 한 스팬연직선상에 동일한 곳이 2군데 있다고 가정하여 계산한다.
② 좌굴에 대한 검토
㉠ 하중은 압축력에 대한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따른다.
㉡ 좌굴은 벽연결(연직) 간격과 띠장간격 중 길이가 긴쪽을 기준하여 검토한다.
③ 벽연결 부재의 검토
㉠ 하중은 풍하중을 고려한다.
㉡ 풍하중과 벽연결 부재의 허용응력을 비교한다.
'공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량 모니터링 계측센서 일반사항과 활용가능한 계측센서 (0) | 2022.04.19 |
---|---|
안전진단시 안전 관련사항 및 안전점검의 종류 (0) | 2022.04.18 |
조적조 벽체 균열 원인 및 방지대책(2/2) (0) | 2022.03.31 |
조적조 벽체 균열 원인 및 방지 대책(1/2) (0) | 2022.03.30 |
피뢰기 및 피뢰침 설비 (0) | 2022.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