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

얕은 상처 흉터 없이 치료하는 방법

by 공돌선생 2022. 2. 16.
반응형

얕은 상처가 생겼는데 특별한 관리 없이 방치하다가 흉터가 된 경험이 많으실 겁니다. 물론 깊거나 큰 상처의 경우에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겠지만 얕은 상처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 알아서 낫겠지'라는 생각으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 이 시간에는 얕은 상처를 흉터가 생기지 않게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얕은 상처 치료 시 고려사항

1) 보습

상처 부위가 마르게 되면 딱지나 가피 현상이 생기게 되어 상처의 구축(오랫동안 움직이지 않아 관절 가동범위에 제한이 있는 것)과 같은 현상이 올 수 있으므로 상처 부위의 보습이 중요합니다.

2) 밀폐

외부 물질로부터의 밀폐, 즉 세균으로부터의 밀폐입니다. 보습이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상처를 외부에 노출시키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아직 아물지도 않은 상처로 외부물질이 유입되기 때문에 다른 질병에 감염될 위험이 생기게 됩니다.

3) 자외선 차단

얕은 상처는 피부의 뚜껑이 열려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평소에도 햇빛을 찍어주면 색소침착이 잘 생기는데 피부의 뚜껑이 열린 상태라면 우리의 몸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이라는 물질이 분비되게 되어 색소침착이 더 많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2. 치료 방법

우리는 상처가 생기면 밴드를 붙이게 되는데 상처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밴드가 들리기 때문에 밀폐와 보습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밴드보다는 재생테잎을 붙이기를 추천드립니다. 대표적인 재생테잎으로는 듀어덤이 있습니다.

재생테잎의 장점으로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상처 부위를 습윤된 환경으로 조성해줍니다.

2) 외부 세균이나 물에 대해 밀폐 효과가 있습니다.

3) 밀폐가 되므로 재생테잎 위에 선크림 등을 바를 수 있어 자외선 차단이 됩니다.

 

3. 기타 주의사항

1) 얕은 상처에 상처가 생기게 되었을 때 조치방법

딱지를 손으로 강제로 제거하게 된다면 추가적인 손상이 생겨서 염증 반응으로 상처가 커질 수 있으니 함부로 제거하면 안 됩니다.. 조치방법으로는 해당 부위에 듀오덤 같은 재생테잎을 붙여주거나 재생크림을 수시로 발라주어 상처가 저절로 떨어지게 하셔야 합니다.

2) 재생테잎은 연고를 바르고 붙여야 되는지에 대한 의문

상처 부위가 감염의 가능성이 높아 보여서 항생제를 바르지 않으면 추가 감염이 우려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재생테잎을 붙이기 전에 연고를 바를 필요는 없습니다.

 

반응형

댓글